저서 자료

『고흥방언 음운론』 차례

자연을 닮은 2007. 2. 7. 10:46
 

1. 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방법
 1.3. 연구대상
 1.4. 논의의 구성
 전라남도 및 고흥군 지도

2. 음운체계
 2.1. 자음
 2.2. 모음
 2.3. 반모음과 이중모음
 2.4. 음소체계
    2.4.1. 자음체계
    2.4.2. 모음체계
    2.4.3. 반모음체계와 이중모음체계
 2.5. 운소체계

3. 음절
 3.1. 음절구조
    3.1.1. 음절성분과 음절구조
    3.1.2. 음절구조제약
 3.2. 음절연결
    3.2.1. 음절경계
    3.2.2. 음절연결제약
 3.3. 음절구조제약과 음절연결제약에 따른 음운현상

4. 곡용에서의 음운형상
 4.1. 조사의 음운구조
 4.2. 명사의 음운구조
 4.3. 음운현상

5. 활용에서의 음운현상
 5.1. 어미의 음운구조
    5.1.1. 자음어미
    5.1.2. 모음어미
    5.1.3. 매개모음어미
 5.2. 단형어간
    5.2.1. 자음어간
        5.2.1.1. 폐쇄음어간
        5.2.1.2. 치찰음어간
        5.2.1.3. 비음어간
        5.2.1.4. ㅎ어간
        5.2.1.5. 자음군어간
    5.2.2. 모음어간
        5.2.2.1. ‘으’어간
        5.2.2.2. ‘오’어간과 ‘우’어간
        5.2.2.3. ‘아’어간
        5.2.2.4. ‘애’어간과 ‘외’어간
        5.2.2.5. ‘이’어간과 ‘위’어간
 5.3. 다형어간
    5.3.1. ㄹ다형어간
    5.3.2. ㅎ다형어간
    5.3.3. ㅂ다형어간
    5.3.4. ㄷ다형어간
    5.3.5. ‘르’다형어간
    5.3.6. ‘아’다형어간
    5.3.7. ‘오’다형어간
    5.3.8. ‘이’다형어간
    5.3.9. 지정사어간
 5.4. 음운현상
    5.4.1. 음운과정의 목록
    5.4.2. 자음에 관한 음운과정
    5.4.3. 모음에 관한 음운과정
    5.4.4. 반모음에 관한 음운과정
    5.4.5. 음장에 관한 음운과정
    5.4.6. 어간별 음운과정 목록
    5.4.7. 음운과정의 관계

6. 발화에서의 음운현상
 6.1. 운율적 음운현상
    6.1.1. 음조
        6.1.1.1. 음조의 실현
        6.1.1.2. 음조구
    6.1.2. 음장
        6.1.2.1. 어휘적 장음의 실현조건
        6.1.2.2. 표현적 장음
    6.1.3. 강세
    6.1.4. 억양
        6.1.4.1. 하강억양
        6.1.4.2. 평탄억양
 6.2. 음소적 음운형상

7. 결론

참고문헌

부록1 : 조사 목록
부록2 : 어미 목록
부록3 : 용언어간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