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문생활》 통권 210호, 한국어문회, 2015. 5.) *한자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韓國語文會로부터 청탁받고 쓴 글입니다. 한국의 近代化는 지극히 險難했다. 80여 년에 걸쳐 外勢의 壓迫과 植民統治, 그리고 온 국토와 국민을 유린한 戰爭을 겪고 나서야 근대적인 국가의 樹立을 향해 힘겨운 걸음을 뗄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근대화를 이끈 것은 한글의 整理와 普及이었다. 한글은 탄생 이후 400여 년을 漢字의 威勢에 눌려 숨죽여 지내다가 主權 喪失의 위기에 처할 즈음인 19세기 말에 그 價値를 인정받고 사회의 全面에 登場하게 되었다. 政治經濟的으로 어려운 시기에도 한글은 韓民族의 社會文化的 潛在力을 키워 나갔다. 한국이 온갖 苦難 속에서도 빠르게 先進國 문턱에 이르게 된 데는 한글의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