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서 자료

『한국어의 어휘와 사전』 차례

자연을 닮은 2014. 9. 23. 14:21

차  례

 

1 어휘

 

1장  어휘론의 주요 개념

1. 어휘와 단어

2. 어휘와 문법

3. 어휘소

4. 단어의 분류와 어휘체계

5. 어휘와 사전

 

2장  국어 어휘의 통계적 특징

1. 머리말

  1.1. 목적

  1.2. 자료

2. 첫 자모

3. 음절 수

4. 품사

5. 조어법

6. 어종

7. 마무리

  7.1. 요약

  7.2. 전망

 

3장  韓日 기초어휘의 複合度 대조

1. 머리말

  1.1. 複合度의 의의

  1.2. 기초어휘 목록 선정

2. 한국어 기초어휘의 복합도

  2.1. 분석 방법

  2.2. 분석 결과

3. 일본어 기초어휘의 복합도

  3.1. 분석 방법

  3.2. 분석 결과

4. 두 언어의 대조

  4.1. 기초어휘 전체의 대조

  4.2. 등급별 기초어휘의 대조

  4.3. 품사별 기초어휘의 대조

5. 맺음말

 

4장  달라, 다오의 어휘론

1. 보충법과 불완전계열

2. 이형태 교체의 형태론적 조건

3. 이형태 교체의 통사론적의미론적 조건

4. 어휘론적 관점

5. 사전에서의 기술

6. 맺는말

 

5장  있다계시다의 품사에 대한 사전 기술

1. 머리말

2. 기존의 사전 기술

  2.1. ‘있다의 경우

  2.2. ‘계시다의 경우

  2.3. 요약

3. 동사냐 형용사냐

  3.1. 본용언 있다의 품사

  3.2. 보조용언 있다의 품사

  3.3. 본용언 계시다의 품사

  3.4. 보조용언 계시다의 품사

4. 마무리

 

6장  물론의 품사와 구문

1. 머리말

2. 품사

  2.1. 기존 사전의 처리

  2.2. 분포

3. 구문

  3.1. 문장부사 구문(A)

  3.2. 주어+서술어 구문(B, C, D)

  3.3. 단독 구문(E)

4. 결론

 

7장  잘생기다류의 품사

1. 머리말

2. 사전에서의 기술

  2.1. 품사정보

  2.2. 뜻풀이

  2.3. 활용정보

3. 활용양상

4. 상적 특성

5. 마무리

 

 

2부  사전

 

8장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사전의 방향

1. 머리말

2. 사전의 유형

  2.1. 외형

  2.2. 규모

3. 사용언어

4. 규범과 현실

5. 거시구조

  5.1. 표제어의 통합과 분할의 기준

  5.2. 표제어의 배열 방식

  5.3. 표제어의 중요도 표시

6. 미시구조

  6.1. 발음

  6.2. 뜻풀이

  6.3. 용례

  6.4. 관련어휘

7. 마무리

 

9장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사전 개관

1. 목적

2. 용어

3. 국어한국어사전 약사

4. 어휘집과 사전

5. 사전의 유형

6. 한국어사전의 현황

  6.1. 전체적인 경향과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

  6.2. 문법형태사전

  6.3. 형태소사전

  6.4. 용언활용사전

  6.5. 연어사전

  6.6. 그림사전

  6.7. 분류사전

7. 주요 한국어사전의 특징

  7.1. 천장

  7.2. 머리

  7.3. 당하다

8. 맺는말

 

10장  사전 표제어의 성분구조 표시에 대하여

1. 표제어가 담고 있는 정보

2. 붙임표 사용의 기준

3. 성분구조 표시의 문제점

  3.1. 음절자의 경계

  3.2. 직접성분이 셋 이상인 단어

  3.3. 2음절 한자어

  3.4. 어근과 문법형태

  3.5. 다른 요소와의 관련성

4. 성분구조 표시의 이상

  4.1. 성분구조 표시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

  4.2. 성분구조 표시의 하한

  4.3. 각 성분의 정체

  4.4. 조어정보 표시의 독립

5. 마무리

 

11장  국어사전 용언활용표의 음운론적 연구

1. 머리말

2. 용언활용표의 현황

3. 어미의 음운론적 검토

  3.1. <>

  3.2. <>

  3.3. <>

  3.4. <>

4. 용언의 음운론적 검토

  4.1. <>

  4.2. <>

  4.3. <>

  4.4. <>

  4.5. <>

  4.6. <>, <>, <>

5. 맺음말

 

12장  국어사전의 발음표시에 대하여

1. 표준국어대사전 이전의 연구

2. 표준국어대사전에 대한 평가

3. 한국어 학습 사전과 그 이후

4. 발음표시의 필요성

5. 발음표시의 내용

  5.1. 발음을 표시하는 대상

  5.2. 발음의 변이에 대한 정보

6. 발음표시의 형식

  6.1. 종이사전

  6.2. 전자사전

7. 마무리

 

13장  사전의 미래

 

 

외국어 요약

 

찾아보기

 

본서 수록 논문의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