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일러두기:언어자료의 표기
1. 기본 개념
1.1. 문법의 개념
1.2. 문법규칙
1.3. 계열관계와 통합관계
1.4. 문장소와 품사
1.5. 문장소의 어휘적 의미와 문법기능
1.6. 단품사어와 다품사어
1.7. 조어법
1.8. 지시물의 표현
1.9. 변이형과 대표형
1.10. 모음어미와 매개모음어미의 변이
2. 체언
2.1. 체언의 개념
2.2. 체언의 종류
2.3. 명사의 종류
2.4. 의존명사의 종류
2.5. 일반 의존명사의 통합관계
2.6. 일반 의존명사의 의미
2.7. 일반 의존명사 ‘것, 분, 데’
2.8. 관용표현에 쓰이는 일반 의존명사
2.9. 단위성 의존명사
2.10. 단위명사
2.11. 수량표현
2.12. 독립명사
2.13. 대명사의 종류
2.14. 1인칭대명사
2.15. 2인칭대명사
2.16. 직시대명사
2.17. 의문대명사
2.18. 비한정대명사
2.19. 재귀대명사
2.20. 수사의 종류
2.21. 어종별 수사
2.22. 단칭수사
2.23. 복칭수사
2.24. 의문수사와 비한정수사
2.25. 단수와 복수
2.26. 복수접미사
2.27. 복수보조사
3. 조사
3.1. 조사의 개념
3.2. 조사의 종류
3.3. 격조사의 종류
3.4. 주격조사와 보격조사
3.5. 목적격조사
3.6. 관형격조사
3.7. 부사격조사
3.8. 호격조사
3.9. 접속조사
3.10. 보조사의 종류
3.11. 함의보조사와 자매항목
3.12. 배제보조사
3.13. 보조사 ‘은’의 쓰임
3.14. 포함보조사
3.15. 보조사 ‘도’의 쓰임
3.16. 중립보조사
3.17. 함의보조사가 서술어에 쓰인 구성
3.18. 격조사와 보조사의 통합관계
3.19. 높임보조사
3.20. 반전보조사
4. 용언
4.1. 용언의 개념
4.2. 용언의 종류
4.3. 동사와 형용사의 수
4.4.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
4.5. 동사와 형용사를 겸한 다품사어
4.6. 동사와 형용사의 동형어
4.7. 의미관계가 밀접한 동사와 형용사
4.8. 완비용언과 불비용언
4.9. 용언 ‘하다’의 쓰임
4.10. 동사의 종류
4.11. 자동사
4.12. 타동사
4.13. 지시동사
4.14. ‘지다’ 합성동사
4.15. ‘하다’ 합성동사
4.16. 보조동사
4.17. 보조동사 구성 중 확대구성
4.18. 보조동사 구성 중 분해구성
4.19. 형용사의 종류
4.20. 일반형용사
4.21. 지시형용사
4.22. 접미형용사
4.23. ‘하다’ 합성형용사
4.24. 보조형용사
4.25. 보조형용사 구성 중 확대구성
4.26. 보조형용사 구성 중 분해구성
5. 어미
5.1. 어미의 개념
5.2. 활용형
5.3. 어미의 종류
5.4. 선어말어미
5.5. 종결어미
5.6. 명사형어미
5.7. 관형사형어미
5.8. 부사형어미
6. 관형사, 부사, 감탄사
6.1. 관형사의 개념
6.2. 관형사의 종류
6.3. 직시관형사
6.4. 의문관형사와 비한정관형사
6.5. ‘=적’ 파생어
6.6. 부사의 개념
6.7. 부사의 종류
6.8. 부정부사
6.9. 지시부사
6.10. 상징부사
6.11. 양태부사와 서법부사
6.12. 접속부사
6.13. ‘=이’ 파생부사
6.14. 감탄사
7. 서법
7.1. 서법의 개념
7.2. 서법과 문장형
7.3. 명제서법과 행위서법
7.4. 종결어미의 분류
7.5. 평서법
7.6. 감탄법
7.7. 의문법
7.8. 의문문의 분류
7.9. 판정의문문
7.10. 설명의문문과 의문사
7.11. 시험의문문
7.12. 인용의문문
7.13. 수사의문문
7.14. 명령법
7.15. 약속법, 경계법, 허락법
7.16. 청유법
7.17. 특수 종결문
8. 경어법
8.1. 경어법의 종류
8.2. 주체경어법
8.3. 객체경어법
8.4. 청자경어법
8.5. 해체와 해요체
8.6. 하라체
8.7. 청자경어법과 2인칭대명사의 대응
8.8. 청자경어법과 ‘-으시-’의 관계
9. 시제와 상
9.1. 시제의 개념
9.2. 시제의 표시 방법
9.3. 현재시제
9.4. 과거시제
9.5. 대과거시제
9.6. 종속절의 현재시제
9.7. 상의 개념
9.8. 상의 종류
9.9. 완료상과 미완료상
9.10. 진행상과 결과상
10. 양태
10.1. 양태의 개념과 유형
10.2. 양태를 표시하는 방법
10.3. 인식양태
10.4. 행위양태
11. 피동과 사동
11.1. 피동과 능동
11.2. 피동사의 형성
11.3. 파생피동사
11.4.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사
11.5. ‘지다’ 피동사
11.6. 피동문의 형성
11.7. 능동문과 피동문의 차이
11.8. 사동과 주동
11.9. 사동사의 형성
11.10. 파생사동사
11.11. 합성사동사
11.12. 단형사동문과 장형사동문의 구조
11.13. 주동문이 형용사문인 사동문
11.14. 주동문이 자동사문인 사동문
11.15. 주동문이 타동사문인 사동문
11.16. 단형사동문과 장형사동문의 의미의 차이
12. 부정
12.1. 부정과 부정문의 개념
12.2. 부정문의 유형
12.3. 부사 부정문
12.4. 보조용언 부정문
12.5. 본용언 부정문
12.6. 단형부정문과 장형부정문
12.7. ‘안’ 부정문, ‘못’ 부정문, ‘말다’ 부정문
12.8. 부정의 의미의 유형
12.9. 단순부정
12.10. 의지부정
12.11. 불능부정
12.12. 불만부정
12.13. 긍정의문문과 부정의문문
12.14. 부정문에만 쓰이는 단어와 문법소
12.15. 종속절에서 긍정과 부정의 의미가 같은 경우
13. 문장의 구조
13.1. 완전문과 생략문
13.2. 단어에서 문장까지
13.3. 구
13.4. 절
13.5. 문장성분
13.6. 주어, 목적어, 보어, 서술어
13.7. 관형어, 부사어, 독립어
13.8. 단순문과 복합문
13.9. 기본문형
13.10. 부사어를 가진 여러 문형
13.11. 용언과 문형
14. 종속절
14.1. 복합문과 종속절
14.2. 명사절
14.3. ‘-기, -음’ 명사형과 ‘=기, =음’ 파생명사
14.4. 관형사절
14.5. 가진 관형사절과 빠진 관형사절
14.6. 일반 관형사절과 인용 관형사절
14.7. 부사절
14.8. 부사형어미의 기능
14.9. 일반 부사절에 관한 통합관계
14.10. 서술절
15. 인용
15.1. 인용의 개념
15.2. 인용문과 인용 명사구
15.3. 직접인용과 간접인용
15.4. 인용 부사어
15.5. 인용 관형어
15.6. 인용절
15.7. 직접인용표현에서의 원발화
15.8. 간접인용표현에서의 수정발화
15.9. 인용동사
15.10. 인용명사
15.11. 인용표현의 구조
15.12. 간접인용과 직접인용의 혼합
15.13. 수사의문문의 간접인용
15.14. 간접인용문에서의 축약
부록:허사, 조사, 어미 목록
1. 허사 목록
2. 조사 목록
3. 어미 목록
찾아보기
1. 변이형의 쓰임
2. 용어
3. 언어형태
'저서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문법』 본문 사진 (0) | 2020.02.14 |
---|---|
『한국어문법』 표지 사진 (0) | 2020.02.14 |
『한국어문법』 머리말 (0) | 2020.01.10 |
『국어음운론 개설』(제3판) 본문 사진 (0) | 2018.09.14 |
『국어음운론 개설』(제3판) 표지 사진 (0) | 2018.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