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저목록

■논문목록■

자연을 닮은 2007. 2. 14. 11:56

※별표(★)를 단 논문 및 평론 18편은 저서목록에 나오는 『국어음운론의 체계화』(2008)에 재수록했음.※회색 동그라미(●)를 단 논문 11편은 저서목록에 나오는 『한국어의 어휘와 사전』(2014)에 재수록했음.

 

 

논문

★ 1. 「음절말자음과 어간말자음의 음운론」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1989. 2. 25. [『국어연구』91, 서울대학교 국어연구회, 1989. 2. 25.] (ⅲ+123pp.)

★ 2. 「고흥방언 ‘아’활용형의 음운론적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연구회 편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김완진선생 회갑기념논총), 민음사, 1991. 8. 26. (pp.373-398)

★ 3. 「고흥방언의 음장과 음조」 『국어학』21, 국어학회, 1991. 12. 30. (pp.275-306)

★ 4. 「음절말 평폐쇄음화에 대하여」 『관악어문연구』1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2. 12. 31. (pp.181-204) [이병근 · 송철의 편 『음운 Ⅰ』(국어학강좌 4), 태학사, 1998. 9. 25. (pp.183-212)에 재수록]

★ 5. 「현대국어 매개모음의 연구사」 『주시경학보』11, 탑출판사, 1993. 7. 27. (pp.73-106)

   6. 「고흥방언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1994. 8. 31. (228pp.) [『고흥방언 음운론』 (국어학총서 32) 태학사, 1998. 7. 25. (261pp.)]

★ 7. 「‘그러다’류의 활용과 사전적 처리에 대하여」 『한일어학논총』(남학 이종철선생 회갑기념논총), 국학자료원, 1995. 10. 15. (pp.125-148)

★ 8. 「구개음화의 음운론적 성격에 대하여」 심재기 · 고영근 · 이익섭 · 이병근 · 임홍빈 · 이상억 · 최명옥 · 이현희 편 『이기문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 신구문화사, 1996. 4. 15. (pp.313-322)

   9. 「<歸蜀途>의 운율구조와 통사구조」 김완진 외 『문학과 언어의 만남』, 신구문화사, 1996. 10. 1. (pp.684-709)

★ 10. 「고흥방언 활용어미의 형태음운론」 『성심어문논집』18 · 19, 가톨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7. 2. 20. (pp.31-53)

   11. 「고흥방언의 장형부정문」 『애산학보』20, 애산학회, 1997. 8. 31. (pp.109-143) [이병근 · 곽충구 편 『방언』(국어학강좌 6), 태학사, 1998. 9. 10. (pp.495-527)에 재수록]

★ 12. 「고흥방언의 용언어간의 축소」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1997. 12. 5. (pp.499-523)

   13. 「서남방언」 『문법연구와 자료』(이익섭 선생 회갑 기념 논총), 태학사, 1998. 10. 11. (pp.877-932)

★ 14. 「로마자표기법의 개정을 위하여」 『성심어문논집』20 · 21, 가톨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9. 2. 20. (pp.81-100)

● 15. 「‘있다’와 ‘계시다’의 품사에 대한 사전 기술」 『성심어문논집』22, 가톨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00. 2. 20. (pp.223-246)

★ 16. 「국어사전에서의 지정사의 활용정보」 『관악어문연구』25,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00. 12. 31. (pp.159-182)

● 17.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사전의 방향」 『성심어문논집』23, 성심어문학회, 2001. 2. 20. (pp.39-67)

★ 18. 「지정사 활용의 형태음운론」 『국어학』37, 국어학회, 2001. 6. 30. (pp.33-59)

   19. 「韓國の方言地理學」 佐藤亮一 외 편 『方言地理學の課題』, 明治書院, 2002. 5. 20. [이범석 日譯] (pp.138-147)

   20. 「‘잖’ 구문에 대하여」 『정신문화연구』25권 4호(통권 8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12. 31. (pp.217-240)

★ 21. 「국어음운론 반세기」 국어국문학회 엮음 『국어국문학회 50년』, 태학사, 2002. 12. 30. (pp.289-316)

★ 22. 「한자어의 경음화에 대하여」 『성심어문논집』25, 성심어문학회, 2003. 2. 20. (pp.247-283)

★ 23. 「漢字語의 구조와 頭音法則」 『어문연구』31권 3호(통권 119),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9. 30. (pp.31-50)

● 24. 「‘물론’의 품사와 구문」 『국어학』42, 국어학회, 2003. 12. 30. (pp.53-81)

   25. ‘A Study on Framing a Lecture on “Korean Culture through the Korean Language” for Foreign Student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 8, No. 1,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5. 3. (pp.179-196)

● 26. 「사전 표제어의 성분구조 표시에 대하여」 『이병근선생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6. 4. 25. (pp.737-755)

★ 27. 「표준발음법의 理想」 『어문연구』34권 3호(통권 13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6. 9. 30. (pp.69-92)

● 28.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사전 개관」 『한국사전학』14, 한국사전학회, 2009. 10. 25. (pp.7-51)

● 29. 「‘달라, 다오’의 어휘론」 『국어학』56, 국어학회, 2009. 12. 30. (pp.191-220)

● 30. 「韓日 기초어휘의 複合度 대조」 『일본연구』28, 중앙대 일본연구소, 2010. 2. 20. (박지연과 공동) (pp.113-135)

● 31. 「국어 어휘의 통계적 특징」 『최명옥 선생 정년 퇴임 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10. 8. 30. (pp.875-896)

● 32. 「국어사전 용언활용표의 음운론적 연구」 『한국문화』 52,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12. 30. (pp.23-52)

   33. 「현대국어 音節의 가짓수 연구」『어문연구』38권 4호(통권 148),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0. 12. 31. (pp.7-29)

● 34. 「국어사전의 발음표시에 대하여」『어학연구』48권 3호, 서울대 언어교육원, 2012. 12. 31. (pp.407-433)

● 35. 「‘잘생기다’류의 품사」『한국학연구』32,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2014. 2. 28. (pp.375-409)

   36. 「韓日 기초어휘의 語種 대조」 『일본연구』38, 중앙대 일본연구소, 2015. 2. 20. (박지연과 공동) (pp.155-175)

   37. 「한국어 초급어의 형태적 특징」 『한국학연구』44,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2017. 2. 28. (pp.337-366)

   38. 「교체의 개념과 조건」 『국어학』81, 국어학회, 2017. 3. 31. (pp.295-324)

   39. 「불비용언의 목록 작성 시론」 『한국문화』81,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8. 3. 31. (pp.285-321)

   40. 「불비용언에 대하여」 『송철의선생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18. 10. 20. (pp.309-324)

   41. 「국어학 용어 '형태', '형태소', '형태론'의 문제」 『안병희 선생 10주기 추모 논문집』, 역락, 2018. 10. 24. (pp.525-544)

   42. 「한자 '기(氣)'로 끝난 단어들의 조어법 분석」『한국학』42권 3호 통권 156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9. (pp.87-119)

   43. 「한국어문법서에서의 조사와 어미의 표기」『한국학연구』58,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2020. 8. 28. (pp.297-330)

   44. 「한자 '병(病)'으로 끝난 단어들의 조어법과 경음화」『한국문화』98,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2. 6. 30. (pp.57-90)

 

평론 등

★ 1. 「유추변화는 문법변화인가」 『주시경학보』7, 탑출판사, 1991. 7. 27. (pp.137-139)

   2. 「음성학 · 음운론」 (국어학의 연구 동향) 『국어학 연감 1994』, 국립국어연구원, 1994. 12. 31. (pp.22-40)

★ 3. 「불규칙활용」 『새국어생활』10권 2호, 국립국어연구원, 2000. 6. 30. (pp.163-169)

   4. 「서평 : 국어학연구사-흐름과 동향」 금산회 편『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2002. 3. 10. (pp.275-278)

   5. 「어휘」 『경기민속지 7 : 구비전승』, 경기도박물관, 2004. 12. (pp.769-777)

   6. 「음운」 『경기민속지 7 : 구비전승』, 경기도박물관, 2004. 12. (pp.719-755) (김봉국과 공동)

   7. 「서평 : 이기갑, 『국어 방언 문법』, 태학사, 2003, 727쪽」 『형태론』 12권 2호(2010년 가을철, 통권 24호),  2010. 9. 30.  (pp.335-341)

  8. 「국어 발음 정책과 발음 교육의 방향」 『새국어생활』 25권 1호(2015년 봄, 통권 196호), 국립국어원, 2015. 3. 31.  (pp.45-62)

  9. 「한글專用과 漢字敎育」 『어문생활』 2015년 5월호(통권 210호), 한국어문회, 2015. 5. 1.  (pp.6-7)

  10. 「21세기 한국어음운론의 과제」 『2021세계한국어한마당 발표 자료집』 문화체육관광부, 2021. 10. 9.  (pp.190-195)